본문 바로가기

법률전문가 인터뷰/법률해석

불법파업 사례, 노동조합법과 노란 봉투법


불법파업 사례, 노동조합법과 노란 봉투법

불법파업 사례, 법률전문가에게 물어보았습니다.

노란 봉투법은 노동조합의 권리와 사회적 갈등 사이의 균형을 찾는 법안입니다.

 

 

가장 핵심이 되는 3가지

노란 봉투법

노란 봉투법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개정안으로, 2014년 쌍용자동차 파업 참여자들에게 47억 원의 손해를 배상하라는 판결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 한 사람이 4만 7천 원이 담긴 노란 봉투를 언론사에 보내며 시작된 운동이 법안 발의로 이어졌습니다. 이 법안은 간접 고용 노동자의 교섭권을 보장하고, 불법 파업 참여자의 손해배상 책임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법안은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해 법사위에 올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법안은 임기 만료로 폐기되었다가 2022년에 다시 논의되기 시작했습니다.
 

사용자 개념 확대

노란 봉투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사용자 개념의 확대입니다. 현재 사용자 개념은 근로계약 당사자만 포함하고 간접 고용자는 포함하지 못합니다. 개정안은 이를 확장해 근로조건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결정하는 자까지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규직 고용을 회피하기 위한 간접 고용 형태가 늘어남에 따라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하지만 적용 범위가 너무 넓어질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손해배상 범위 제한

또 다른 주요 내용은 노조 및 근로자의 손해배상 범위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초기 발의안은 불법 파업의 경우에도 손해배상을 제한하고, 폭력이나 파괴 행위가 있는 경우에도 감면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조항들은 불법 행위를 보호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대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해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습니다. 현재는 개별 조합원의 책임을 나누어 부담하는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매우 중요한 질문 4가지

사용자 개념 확대가 필요한가요?

현재의 사용자 개념은 근로계약 당사자만 포함하기 때문에 간접 고용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정규직 고용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접 고용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사용자 개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광범위한 적용은 사용자 측의 부담을 과도하게 늘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를 조정하는 것이 개정안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개념 확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손해배상 범위 제한은 적절한가요?

노조 및 근로자의 손해배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노동조합의 권리 보호를 위한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불법 파업과 같은 명백한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을 제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많습니다.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반영해 개별 조합원의 책임을 나누는 방향으로 수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불법 행위에 대한 책임을 낮추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법적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조의 권리 보호는 필요한가요?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불법적인 방법으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노란 봉투법은 노동조합의 정당한 권리 행사를 보호하면서도 불법 행위를 억제하려는 취지입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노동조합을 보호하는 조항은 오히려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조의 권리 보호와 사회적 질서 유지 사이의 균형이 필요합니다.
 

법안이 통과되면 어떤 변화가 있나요?

노란 봉투법이 통과되면 노동조합의 교섭력은 강화될 것입니다. 사용자 개념의 확대와 손해배상 범위 제한이 주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부담을 늘리고, 불법 파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법안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법안의 최종 내용이 어떻게 조정될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결론

노란 봉투법은 노동조합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불법 행위를 억제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 개념의 확대와 손해배상 범위 제한이 주요 내용이며, 이를 통해 간접 고용 노동자의 교섭권을 보장하려는 목적입니다. 그러나 지나친 노동조합 보호는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법안의 최종 조정이 어떻게 이루어질지에 따라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혹시 다른 내용을 찾으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동법,
그 중에서 "불법파업 사례" 관련한 내용을 다루어보았습니다.

만약 "노동법"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여기에서 관련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동법 보기

 

 

"법률전문가 인터뷰" 시리즈는
변호사/법무사/회계사/세무사 등
각 분야 법률전문가들과의
심도있는 대화를 토대로

복잡한 법률정보들을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리미엄 컨텐츠입니다.

아래에서 법률전문가 인터뷰
컨텐츠의 모든 글을 확인하세요.

모든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