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보상보험, 산재 손해배상 청구와 보상 방법
산업재해보상보험, 법률전문가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을 통해 손해배상 청구를 철저히 준비하세요.
가장 핵심이 되는 3가지
산재 손해배상
산업재해로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유족들은 산재법상의 유족급여 외에도 사업주나 가해자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산재에서 받는 급여는 공제하고 나머지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몇 억 단위의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손해배상 청구 시 중요한 것은 유족들이 실제로 얼마만큼의 손실을 입었는지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시 수입
산재 손해배상 청구에서 첫 번째 항목은 일시 수입입니다. 망인이 살아 있었다면 벌 수 있었던 돈을 기준으로 청구합니다. 예를 들어 월 300만 원을 벌던 사람이 사망했을 경우, 65세까지 벌 수 있었던 금액을 청구합니다. 이때 산재에서 받은 유족급여는 해당 금액에서 공제합니다. 공제 후 차액에 대해 청구하면 됩니다.
위자료 청구
일시 수입 외에도 위자료 항목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위자료는 망인이 사망하는 순간 느꼈던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입니다. 상속인으로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느꼈던 고통에 대해서도 별도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명확하게 항목과 금액을 밝혀 청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우 중요한 질문 4가지
유족급여는 어떻게 공제하나요?
산재에서 받은 유족급여는 일시 수입에서 공제해야 합니다. 유족들은 망인이 생존 시 벌 수 있었던 금액에서 산재 유족급여를 뺀 차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망한 사람이 월 300만 원을 벌고 있었다면, 65세까지 벌 수 있었던 금액을 계산합니다. 그리고 산재에서 받은 유족급여를 공제한 나머지를 손해배상 청구 금액으로 합니다.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일용직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도시일용노임을 기준으로 65세까지 계산한 금액을 청구합니다. 이때도 산재에서 받은 유족급여는 공제해야 합니다. 위자료는 1억에서 1억 5천만 원 범위 내에서 청구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업무를 보다가 사망한 경우, 실제 받던 급여를 기준으로 청구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년까지 일하는 것으로 보고 금액을 계산합니다.
전문직종 근로자의 경우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전문직종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해당 직종의 통계소득을 기준으로 일시 수입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굴착기 운전자나 전기 관련 직종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자격증과 실제 근로 상황을 고려합니다. 해당 직종의 통계소득을 바탕으로 일시 수입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하면 보상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형사적인 조치는 필요한가요?
산재 사고로 인한 사망의 경우, 형사적인 조치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업주나 가해자가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고소장을 접수하여 적절한 처벌을 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형사 판결문이 있으면, 이후 민사 소송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사적인 조치와 민사적인 조치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산업재해로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산재법상의 보상 외에도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유족들이 실질적인 금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계산과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합니다.
혹시 다른 내용을 찾으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험/의료,
그 중에서 "산업재해보상보험" 관련한 내용을 다루어보았습니다.
만약 "보험/의료"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여기에서 관련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률전문가 인터뷰" 시리즈는
변호사/법무사/회계사/세무사 등
각 분야 법률전문가들과의
심도있는 대화를 토대로
복잡한 법률정보들을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리미엄 컨텐츠입니다.
아래에서 법률전문가 인터뷰
컨텐츠의 모든 글을 확인하세요.
'법률전문가 인터뷰 > 회사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손실보상, 정부의 조치와 자영업자의 대응 (0) | 2024.06.05 |
---|---|
화학물질관리법, 생활 속 안전을 지키는 방법 (0) | 2024.06.05 |
행정소송, 권리 구제의 첫걸음 (0) | 2024.06.05 |
자본시장법,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4.06.05 |
묵시적갱신, 임대차 계약의 핵심 이해하기 (0) | 2024.06.05 |